문종(文宗, 1414년 11월 15일(음력 10월 3일) ~ 1452년 6월 10일(음력 5월 14일), 재위 1450년 ~ 1452년)은 조선의 제5대 국왕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휘는 향(珦)이며, 자는 휘지(輝之)이다.
묘호는 문종(文宗)이며, 문치(文治)를 발전시키고 다스렸다는 뜻이다. 시호는 흠명인숙광문성효대왕(欽明仁肅光文聖孝大王)이고, 명에서 받은 시호는 공순(恭順)이다. 존시를 합치면 문종공순흠명인숙광문성효대왕(文宗恭順欽明仁肅光文聖孝大王)이다.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맏아들로, 조선의 왕 중에서 적장자로 왕위에 오른 최초의 왕이다.
생애
세자 시절 및 즉위
문종은 세종과 소헌왕후의 장자로 출생하여 1421년 7세의 나이에 왕세자로 책봉되었다.
1429년(세종 11년) 가례를 올렸으나 첫 번째 세자빈 휘빈 김씨는 세자의 사랑을 얻으려 주술을 이용하다가 발각되어 폐위되었고, 두 번째 세자빈 순빈 봉씨는 폭력적인 성품에, 나인 소쌍과 동침하는 등 동성애 기질을 보여 폐위되었다. 이후 후궁이었던 승휘 권씨를 세자빈으로 맞이하였으나 세자빈 권씨는 1441년 단종을 낳은 지 하루만에 산후병으로 죽고 말았다.[1]
문종은 세자 시절 세자사(世子師) 하연을 스승으로 삼고 학문을 닦았으며, 어렸을 때부터 인품이 관대하고 후하여 누구에게나 좋은 소리를 들었으며 학문을 무척 좋아했을 뿐만 아니라 세계 최초의 정량적 강우량 측정기인 측우기를 발명[2]할 정도로 천문학과 산술에 뛰어난 능력을 보였다.[3]
1421년부터 1450년까지 29년간 왕세자로 지내는 동안, 아버지 세종의 정치를 보필하였다. 문신과 무신을 골고루 등용하였으며, 언관의 언론에 대해 관대한 정치를 폄으로써 언론을 활성화해 민심을 파악하는 데 힘썼다.
1442년(세종 24년) 세종이 병상에 누워 국정을 다스릴 수 없게 되자 세종을 대신하여 8년간의 대리청정 기간 동안 국사를 처리하다가 1450년 음력 2월에 세종이 승하하자 왕으로 즉위하였다. 이미 대리청정을 한 덕분에 공백기간 동안 정사 처리에 문제가 없었다. 세종은 생전에 문종을 염려하여 병석에서도 자신은 죽음이 얼마 남지 않았으며, 당시 세자였던 문종 역시 병약하였기 때문에 오래 살지는 못할 것이라는 예상을 하고 집현전 학사들을 불러 세손의 앞날을 부탁하였다.